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8)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Container Orchestration)은 여러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배포, 관리, 확장, 네트워킹, 복구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도커 컴포즈가 여러 컨테이너를 정의하고 실행하는 도구인 반면,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는 수백, 수천 개의 컨테이너를 클러스터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대표적인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로는 쿠버네티스(Kubernetes)와 도커 스웜(Docker Swarm)이 있다. 이러한 도구들은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환경에서 자동으로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 단순히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것 이상의 복잡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쿠버네티스의 주요 용어들1. 파드(Pod)파드는 쿠버네티스에서 ..
Docker - Docker Compose 도커 컴포즈(Docker Compose)란?도커 컴포즈(Docker Compose)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정의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도커 컴포즈를 사용하면 단일 YAML 파일에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정의를 작성하고, 이 파일을 기반으로 여러 컨테이너를 한 번에 설정하고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여러 독립적인 컨테이너(서비스)를 관리하고 실행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도커 컴포즈의 주요 개념도커 컴포즈는 주로 YAML 파일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도커 컴포즈가 자동으로 필요한 컨테이너들을 생성, 연결, 관리한다. 도커 컴포즈의 주요 개념은 아래와 같다.서비스(Services): 도커 컴포즈에서 서비스는 ..
Docker - Docker란? 도커(Docker)는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 소스 플랫폼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포, 실행 및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도커는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지만, 전통적인 가상머신(VM)과는 다르게 더 가볍고 빠른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격리하고 실행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개발자와 기업이 도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및 확장성을 향상시키고 있다.도커의 주요 개념들컨테이너(Container):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 종속성 등을 모두 포함한 독립적인 실행 환경이다. 컨테이너는 호스트 운영체제의 커널을 공유하지만, 프로세스 격리, 네트워크 격리 등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간의 충돌 없이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서버에서 ..
이진 탐색 (Binary Search) 이진 탐색(Binary Search)은 효율적인 탐색 알고리즘으로, 정렬된 리스트에서 특정 값을 찾기 위해 사용된다. 이진 탐색은 리스트를 반으로 나누어 탐색 범위를 좁혀가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시간 복잡도가 O(log n)으로 매우 효율적이다.설명 및 개념이진 탐색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른다:초기화: 리스트의 시작 인덱스와 끝 인덱스를 설정한다.중간 요소 계산: 시작 인덱스와 끝 인덱스의 중간 요소를 계산한다.비교:중간 요소가 찾고자 하는 값과 일치하면, 해당 요소의 인덱스를 반환한다.중간 요소가 찾고자 하는 값보다 크면, 끝 인덱스를 중간 인덱스의 왼쪽으로 이동시켜 리스트의 왼쪽 절반을 탐색한다.중간 요소가 찾고자 하는 값보다 작으면, 시작 인덱스를 중간 인덱스의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리스트의 오른쪽..
CI/CD CI/CD의 개념과 역할 CI/CD는 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과 Continuous Deployment/Delivery (지속적 배포/전달)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코드 변경이 자동으로 빌드, 테스트, 배포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CI/CD 파이프라인은 개발 주기를 단축하고, 품질을 높이며, 신속한 배포를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적인 도구이다.1. 지속적 통합 (CI, Continuous Integration)지속적 통합(CI)은 개발자들이 코드 변경을 자주 병합(Integration)하고, 이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빌드하고 테스트하는 프로세스이다. CI의 목표는 코드 변경 사항이 작은 단위로 자주 병합됨으로써, 통합 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미리 발견하고 해결..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구성되고, 동작하며,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구조적인 설계를 의미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확장성, 유지보수성, 보안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성공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1. 애플리케이션과 웹 애플리케이션의 차이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웹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다.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예를 들어, Microsoft Wor..
가상화와 컨테이너 가상화와 컨테이너는 현대 IT 인프라에서 핵심적인 기술이다. 이 기술들은 컴퓨팅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와 관리를 단순화하며, 개발과 운영의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1. 가상화의 개념가상화(Virtualization)는 물리적인 컴퓨팅 자원을 추상화하여 논리적인 단위로 분리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하나의 물리적 하드웨어 자원에서 여러 개의 가상 컴퓨팅 환경(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운영할 수 있다. 가상화는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유지보수의 용이성, 확장성 등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2. 가상화의 종류가상화는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유형은 다르게 자원을 추상화하고 관리한다.1) 하드웨어 가상화 (Hardware Virtualization)하드웨어 가상화..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클라우드)을 통해 컴퓨팅 자원(서버, 저장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사용자는 물리적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직접 소유하거나 관리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원격으로 컴퓨팅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식은 기존의 온프레미스(직접 하드웨어를 구매하여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식)와 달리, 높은 유연성과 효율성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온디맨드 자원 접근: 사용자는 필요할 때 언제든지 자원을 요청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 자원은 필요하지 않을 때는 반환할 수 있어 자원 활용이 효율적이다.유연한 확장성: 클라우드는 필요에 따라 자원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이 급증하는 시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