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2)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레이어, IP 프로토콜 네트워크 레이어 (Network Layer) 란? OSI 모델의7 계층 중 세 번째 계층으로,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과 라우팅을 담당한다. 네트워크 레이어는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경로를 결정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관리한다. IP 프로토콜 (Internet Protocol) 란? IP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레이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IP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 즉 TCP/IP 모델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다. IP는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각 패킷에는 출발지와 목적지의 IP 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IP 주소 (IP Address) 란?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각 장치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입이다. 현재는 IPv..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란?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핵심 프로토콜 중 하나로, 신뢰성 있는, 연결 지향적인 스트림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TCP는 웹 브라우징, 이메일 전송, 파일 전송 등과 같은 많은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된다. TCP의 주요 특징과 작동 방식 1. 연결 지향적: TCP는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연결을 설정한다. 이를 위해 "3-way handshake"라는 과정을 사용한다. 2. 신뢰성 있는 전송: TCP는 데이터의 손실, 중복, 순서 변경 등을 처리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이를 위해 확인 응답 (ACK), 재전송, 순서 제어 등의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3. 흐름 제어: TCP는 송.. 신뢰적 데이터 전송 (Sliding window, Go Back N, Selective Repeat)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란?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신뢰적 데이터 전송을 위한 흐름 제어 및 오류 제어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슬라이딩 윈도우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면서 동시에 여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이 메커니즘은 특히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데이터의 손실이나 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슬라이딩 윈도우의 기본 원리 1. 윈도우 크기: 전송자와 수신자 모두 윈도우라는 버퍼를 가지고 있다. 이 윈도우의 크기는 동시에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프레임의 최대 개수를 나타낸다. 2. 전송 윈도우: 전송자의 윈도우는 아직 확인 응답이 오지 않은 프레임들과 전송할 준비가 된 프레임들을 포.. UDP & 신뢰적 데이터 전송의 원리 UDP란?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사용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 중 하나로, 데이터를 신뢰성보다는 속도를 우선으로 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함께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일부로 사용되며, TCP와 비교하여 일부 상황에서 더 적합한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 인터넷에서 컴퓨터와 기기들이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모음 UDP의 특징과 동작 방식 1. 비연결형 프로토콜 UDP는 연결 설정과 관련된 핸드셰이크 과정이 없다. TCP와 달리 연결을 설정하고 끊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데이터 패킷을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 HTTPS & DNS HTTPS 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의 약자로, 월드 와이드 웹(WWW)에서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HTTP 암호화 버전) HTTPS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암호화하고 보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개인정보와 민감한 데이터를 더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다. 주요 특징 1. 데이터 암호화: HTTPS는 SSL(Secure Sockets Layer) 또는 최신의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감청하거나 변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인증과 신뢰성: HTTPS는 SSL/TLS 인증서를 사용하여 웹 서버의 신뢰성을.. Variables and memory 1. 변수와 메모리 참조(Variables and memory reference) Python에서는 모든 것이 객체로 취급된다. 객체는 힙(heap) 메모리에 저장되며, 변수는 이 객체들에 대한 참조를 보관한다. 또한, 파이썬 메모리 매니저가 객체의 생성 및 삭제, 그리고 메모리 할당과 반환을 관리하므로 개발자는 메모리 관리에 대해 신경 쓸 필요가 거의 없다. 변수와 객체 사이의 연결을 설명하는 좋은 방법은 id()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함수는 파이썬 내부에서 객체의 고유한 ID를 반환하는데, 이 ID는 실제로는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이다. id() 함수에 hex() 함수를 적용하면 이 주소를 16진수로 변환하여 볼 수 있다. my_var = 10 print(id(my_var)) # 고유 ID.. HTTP 프로토콜 HTTP 프로토콜이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주로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며, 어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IP위에서 작동한다. HTTP는 간단한 요청과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클라이언트가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파일을 요청할 때, 클라이언트가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웹 서버는 해당 요청을 받아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 HTTP의 요청/응답 모델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을 묘사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그에 대한 응답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구조이다. 이 .. 컴퓨터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레이어 컴퓨터 네트워크란? 여러 대의 컴퓨터와 기기들이 서로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연결된 시스템을 말한다. 이때, 연결이란 물리적인 케이블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교환하는 대 사용되는 규칙과 프로토콜이 있다. 네트워크는 규모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LAN (Local Area Network) 집, 사무실, 학교 등 수 킬로미터 내의 가까운 거리에 있는 컴퓨터 및 각종 기기를 연결한 통신망 WAN (Wide Area Network) 멀리 있는 지역을 한데 묶은 네트워크, 가까운 지역끼리 묶은 LAN과 LAN을 하나로 묶은 통신망 MAN, VLAN, CAN, PAN, SAN 등이 있다. 현대 컴퓨터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달 패킷 스위칭(packet switching) 기술을 기반으.. 이전 1 ··· 11 12 13 14 다음